영화-범죄도시 2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범죄도시 2

by winter2 2025. 5. 7.
반응형

영화-범죄도시 2
영화-범죄도시 2

1. 작품개요

감독: 이상용
제작사: (주)홍필름, (주)비에이엔터테인먼트
개봉일: 2022년 5월 18일
장르: 액션, 범죄
러닝타임: 106분
관람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관객 수: 약 1,269만 명

흥행 포인트: 전작을 뛰어넘는 액션과 스케일, 마동석의 압도적 존재감, 신예 악역 손석구의 강렬한 연기

<범죄도시 2>는 2017년 개봉한 <범죄도시>의 속편으로, 전편의 성공에 힘입어 더욱 확장된 무대에서 폭력범죄를 다루는 형사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특히 '마석도' 형사와 그가 이끄는 강력반 팀의 활약이 돋보이며, 더욱 강력하고 잔혹한 악역 '강해상'의 등장이 스토리에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2. 주요 인물

마석도 (마동석)
서울 금천경찰서 강력반 형사. 압도적인 체격과 파워, 뛰어난 감으로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인물. 거칠지만 정의감이 강하다.

강해상 (손석구)
베트남에서 활동하는 미스터리한 인물로, 조직을 장악하고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잔혹한 범죄를 저지른다. 비정하고 냉혹한 성격의 범죄자.

전일만 반장 (최귀화)
마석도의 상사이자 강력반 반장. 마석도와 오랜 파트너로, 실무에서는 유연함과 현실감각을 지닌 인물.

장이수 (박지환)
전편에 이어 등장하는 인물로,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갖고 있어 극 중 수사에 도움을 준다.

3. 줄거리


1) 발단
영화는 베트남 호치민에서 벌어진 한 한국인 실종 사건으로 시작된다. 피해자는 한인 커뮤니티에서 사업을 하던 남성으로, 사망 후 시신이 훼손된 채 발견된다. 대한민국 경찰은 베트남에 파견된 현지 경찰의 요청을 받아 수사 협조 차 마석도 형사와 강력반 일부 인원을 파견한다.

베트남 현지에서 마석도는 조사를 진행하던 중 ‘강해상’이라는 미지의 인물이 실종사건 배후에 있음을 직감한다. 그는 단순한 납치범이 아닌,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마약 밀매와 장기밀매를 저지르는 국제 범죄조직의 수장이다.

2) 전개
마석도는 강해상의 거점과 조직의 흐름을 파악해가며 점점 그를 압박해간다. 하지만 강해상은 오히려 이를 기회로 삼아 한국으로 도주해 조직을 확장하려 한다. 마석도 일행도 곧 귀국하게 되고, 서울에서 본격적인 추격전이 벌어진다.

강해상은 이미 국내에서도 여러 명의 조직원을 포섭하고, 불법적인 자금 세탁과 마약 거래를 추진한다. 경찰 내부에서는 수사권 문제, 외교적 문제 등으로 인해 수사가 제약받지만, 마석도는 현장 중심의 조사를 멈추지 않는다.

3) 절정
강해상은 자신이 쫓기고 있음을 직감하고 경찰과의 대결을 준비한다. 그는 마석도를 함정에 빠뜨리고, 일부 경찰과 일반인을 인질로 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마석도는 이를 감지하고 단독으로 적진에 침투, 몸을 아끼지 않고 돌진하며 범인을 압박한다.

강해상과 마석도는 치열한 육탄전을 벌이며, 결국 대중교통 안에서의 결투 끝에 마석도가 강해상을 제압한다. 이 장면은 전편의 ‘골목 액션’에 버금가는 긴장감으로 관객의 몰입도를 끌어올린다.

4) 결말
강해상은 체포되고, 그의 조직은 해체된다. 마석도와 강력반 팀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또 다른 사건의 암시를 주며 시리즈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둔다. 범죄와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메시지가 여운을 남긴다.

 

4. 영화 요약

<범죄도시 2>는 형사 마석도가 해외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범죄를 추적하며 베트남과 서울을 무대로 잔혹한 범죄조직과 맞서 싸우는 과정을 그린다. 시리즈 특유의 ‘주먹 액션’과 현실감 있는 수사극이 어우러져 몰입도를 높이며, 강력한 악역 캐릭터와의 긴장감 넘치는 대결 구도가 극을 이끈다.

이전 작품보다 더욱 업그레이드된 액션, 국제적인 배경, 그리고 새로운 범죄 형태를 다룬 점에서 속편으로서의 완성도와 차별성을 갖춘 작품이다.

5. 전하는 메시지


<범죄도시 2>는 단순한 액션 범죄 영화 그 이상으로, 정의의 가치와 범죄에 대한 무관용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마석도는 법과 제도라는 틀을 넘어서서 실질적인 피해자 보호와 범죄자 처벌을 우선시하며, 때로는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히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또한 해외에서 자행되는 범죄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국가와 경찰의 역할, 책임에 대한 고민도 내포하고 있다. 정의는 복잡한 절차나 타협이 아니라, 때로는 분명하고 단호한 행동을 통해 구현된다는 점을 관객에게 일깨운다.

반응형